공부허자고/차와 과학

차나무의 기원과 특징

긴 봄 2012. 2. 4. 16:44

 

차의 기원

 

차나무의 기원

 

차나무란 원산지가 어디이고 시작은 언제 어디서이며 어떻게 발전되어 왔는지 궁금하면서도 알아보기가 마땅치 않았다.

차나무의 원산지는 중국의 운남성과 인도의 아샘지방으로 학설이 정립되고 있다.

차나무가 지구상에 나타난 것은 6000~7000만 년 전으로 빙하기(氷下期)를 이곳 운귀고원과 아샘에서 지냈다.

간빙기(間氷期)를 맞으면서 자생 범위를 넓혀 간 것으로 추정되며 인간이 이용하기 시작한 건 중국이었다.

, 농업, 의약의 신이라는 삼황오제 중 염제 신농 (炎帝 神農)씨가 최초로 차를 약용으로 이용했다고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에 기록되어 있다.

 

당나라 때 다성 육우(茶聖 陸羽)의 다경(茶經)에는 신농이 인간에게 유익한 양식과 약초를 찾고자 풀 백가지를 맛보다 하루는 72가지의 독에 중독되었는데 차나무() 잎을 먹고 해독되었다

 (神農嘗遍百草, 日遇七十二毒, 得荼而解之.)한다. 최초 약용 기록

 

서주 시대인 기원전 1066년엔 동진시대 상거가 쓴 화양국지 파지(華陽國誌 巴誌)에 주나라 무왕이 은나라 주왕을 제압하고 파촉을 얻은 후 조공으로 뽕나무, 누에, , , , , , 환약, 옻나무와 함께 차가 들어 있다.(周王旣克殷 以其宗姬封於巴....,, , , 靈龜, ....皆納貢之) :

최초 조공품 기록함.

 

동주시대엔 안영이 제나라 경공의 재상으로 있을 때 거친 밥에 구운 고기 세 꼬치와 새 알 다섯 개, 그리고 차나물을 먹었다는 내용이 안자춘추에 전한다. (春秋時期 晏子春秋. 晏相濟景公時 食脫栗飯 炙三戈五卵 茗菜而已) : 차에 대한 최초의 음식 기록이다.

 

진나라 때에 이르러 차나무 재배에 관한 글이 보인다. 사천에는 차나무를  재배한다 그 기술이 협서 하남등지로 퍼져나가기 시작했다고 적었다 (四川茶樹栽培, 制作技術向陜西 河南等地......) :

차의 재배와 보급 기록

 

서한시대엔 왕포의 동약이라는 노비매매문서에 노비의 일과 중에 무양에 가서 차를 사 오고, 차를 다리는 일이 적혀 있다.( 烹茶盡具 武陽買荼) : 차를 음료로 마시는 최초의 기록

 

동한시대엔 화타의 식론에 차를 오래 마시면 생각하는데 좋다 했다.(食論 苦荼久食 益意思) : 최초의 차 약 효능의 기록

 

특징

 

차나무는 사철 푸른 잎의 상록수이며 긴 타원형에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동백나무에 비해 얇지만 두껍고 윤기가 흐르며 꽃은 9월에서 시작하여 눈이 올 때까지 핀다.

꽃은 5~9장의 화판에 흰색 홑꽃에 노란 수술을 가진 꽃을 주로 피우나 간혹 다른 색의 꽃과 겹꽃도 나타난다.

열매는 다음해 개화하는 시기(9~10)에 결실이 된다. 하여 열매와 꽃이 만난다 하여 실화상봉수라 일컫기도 한다.

동백나무의 씨앗과 비슷하며 한 꼬투리 안에 1~5개의 씨앗이 들어 있다.

나무의 크기에 따라 교목, 반교목, 관목으로 구분하며 잎의 크기에 따라 대엽종, 중엽종, 소엽종이 있다.

중국 최초의 자전인 이아(爾雅)에 차에 대한 기록이 나오는바 치자나무처럼 작고 겨울에도 잎이 떨어지지 않으며 잎을 삶아 국으로 먹을 수 있으며 오늘날 일찍 딴것은 도 늦게 딴것은 명 또는 천이라 하며 촉나라 사람들은 고도라고 한다.”

(樹小如梔子 冬生葉 可煮羹飮 今呼早取爲荼 晩取爲茗 惑曰荈 蜀人名子苦荼)

 

차의 이용

 

육우는 다경의 칠지사 편에 여러 내용을 소개하고 있다.

신농식경에 차를 오래 마시면 힘이 나고 기분이 좋아진다.

광아에는 형주와 파주사이에는 찻잎을 채취하여 떡을 만든다. 파 생강 귤을 함께 넣어 끓이기도 한다.이갓ㅇ르마시면 술이 깨고 잠이 달아나게 한다.

화타의 식론 오래 마시면 생각하는 일에 유익하다.

호거사 식기 차를 오래 마시면 신선이 된다. 부추와 함께 마시면 살이 오른다.

도홍경 잡록 차는 몸을 가볍게 하고 뼈를 바꾼다.

본초 본부 명은 쓴 차다. 맛이 달고도 쓰다. 성질은 약간 차가우나 독은 없다. 부스럼을 다스리고 소변을 잘 나오게 하며 가래 갈증 몸의 열을 없애고 사람의 잠을 적게 한다. 가을에 딴잎의 쓴맛이 기를 가라앉히고 소화를 돕는다.

본초 채부 아마도 이것이 차나 도가 아닌가 여겨지며 잠을 쫓아준다.

침중방 오래된 부스럼을 낫게 해주는데 차와 지네를 함께 구워 냄새가 나도록 익혀서 찧고 체로 쳐서 등분하여 한 등분은 감초와 함께 끓여 환부를 씻어내고 남은 한 등분의 가루는 환부에 바른다.

유자방 어린아이가 이유없이 경기가 들면 차와 파뿌리를 함께 달여 먹인다.

 

식물학상 분류와 차의 학명도 상식적으로 알아 두면 좋다.

 

차나무의 식물학상 분류

종자식물문(種子植物門) - Embryophyta

속씨식물아목(속씨植物亞門) - Angiospermae

쌍자엽식물강(雙子葉植物綱) - Digotyledones

동백나무목(冬栢나무) - Theales

동백나무과(冬栢나무) - Theaceae

동백나무속(冬栢나무) - Camellia

차나무종(나무) - Camellia sinensis

 

차의 학명

 

칼 폰 린네(Carl Von Linne, 1707~1778)의 이명법에 따라

학명  Camellia sinensis  (L) O.Kuntze

이명법 (속명+ 종명) Camellia sinensis

 

이명법이란

스웨던의 식물분류학자 칼 폰 린네가 창시하였다.

학명은 국제 명명규약에 따라 린네가 창안한 이명법에 기초하여 명명한다.

이명법에서는 속명을 먼저 쓰고 그 뒤에 종명을 쓴다.

속명과 종명은 필수적으로 쓰고 그 다음에 명명한 사람의 이름을 쓴다.

학명은 라틴어를 사용하며 속명과 종명은 이태리체로 구분하여 표기한다.

속명의 첫 글자는 대문자를 사용하며 종명은 소문자로 표기한다.